주휴수당 지급기준 예외사항 6가지
#주휴수당 #주휴일 #급여계산
직원 급여계산은 늘 골치,
특히나 헷갈리는 주휴수당 계산!
카페를 운영하는 김사장님은 직원 월급날만 되면 머리부터 아파옵니다. 카페 오픈 전에는 가볍게 생각했던 직원 급여계산이 생각보다 간단하지 않다는 것을 경험했기 때문입니다. 해마다 바뀌는 근로기준법도 혼란스럽고요. 바쁜 와중에 실수로 빠뜨린 수당이었는데 아르바이트생은 아무 말 없다가 노동청에 신고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던 적도 있습니다.
그때 빠뜨렸던 수당이 바로 주휴수당! 개념을 대충만 알고 있다 보니 이런 일이 발생했던 거죠. 뉴플로이를 이용하면 주휴수당을 반영한 직원 급여가 자동으로 계산돼 김사장님과 같은 일이 발생할 일이 없지만, 일단 주휴수당 개념을 자세히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뉴플로이와 함께 주휴수당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 . . .
주휴수당 보다
먼저 알아야 할 개념은 주휴일 🗓
근로기준법 제55조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30조에 따른 주휴일에 대한 정의는 ‘주휴일은 사용자가 1주간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노동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 유급으로 부여하는 휴일’입니다. 여기서 소정근로일은 ‘당사자가 근무하기로 정한 날’을 의미하며, 주휴일은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한 모든 근로자에게 해당됩니다. 조금 더 쉽게 이야기하면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했다면 직원이든 알바든 관계없이 주휴일이 부여됩니다. 또한 5인 미만 사업장에도 적용되니 알바 1~2명만 쓰는 식당에서도 위 조건만 충족되면 주휴일이 적용됩니다.
조금 더 쉽게 이야기하면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했다면 직원이든 파트타임 알바든 관계없이 주휴일이 부여됩니다. 이는 5인 미만 사업장에도 적용되니 알바 1~2명만 쓰는 식당에서도 위 조건만 충족되면 주휴일이 적용됩니다.
주휴수당 정의 및 예외사항 6가지
일반적인 휴일은 ‘근로제공의 의무가 없는 날’로 정의됩니다. 그러나 주휴일은 수당을 지급해야 하니 유급휴일로 분류됩니다. 즉 주휴수당은 주휴일에 지급하는 급여입니다. 앞서 주휴일은 직원이든 알바든 관계없이 적용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단, 월급 받는 직원들의 경우엔 통상적으로 월급 안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시급직 알바의 경우엔 실제 근무한 시간에 대한 급여 외에 주휴수당을 따로 계산해야 하죠. 하지만 1주일에 15시간 일했다고 무조건 주휴수당이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바로 다음과 같은 경우는 주휴수당에서 제외됩니다.
- 사전에 시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음을 노사 합의하였을 경우
- 근로계약 기간이 1주일 미만인 경우
- 4주간 평균하여 일주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초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 일주일간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하지 못했을 경우
- 주 40시간 근무제의 경우 월~금요일까지 개근해야 하나, 지각/조퇴가 있는 경우
- 주휴수당 지급 해당 주의 그 다음 주에도 계속 근무를 해야 지급 가능
. . . . .
헷갈리는 주휴수당 계산 😧
뉴플로이 급여 자동화 플랫폼에 맡기세요!
주휴수당도 결국 근로자의 통상 임금에 따라 결정됩니다. 시급직, 생산직 근로자가 많은 기업의 경우 직원의 근무시간이 늘어날수록 주휴수당 또한 따라서 증가하기 때문에 근태기록과의 연동이 중요합니다.
뉴플로이는 직원의 근태기록을 기반으로 복잡한 수당, 공제 내역을 반영하여 급여를 자동 계산해주는 급여 자동화 소프트웨어 입니다. 직원의 출퇴근 체크는 모바일 앱 알밤으로 가능하며, 알밤의 출퇴근 기록이 뉴플로이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주휴수당, 휴일수당, 연장수당, 야간수당 등이 계산됩니다. 뉴플로이 이용 시 알밤을 무료로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차수당, 특근수당, 상여금 등 회사 내규에 따른 수당, 공제 항목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어 우리 회사에 맞는 급여정책 세팅이 가능합니다.
고객사가 급여계산 내역(급여대장)을 플랫폼에서 확인만 하면, 급여이체 및 급여명세서 발송까지 자동으로 진행되어 급여 담당자의 업무 부담을 덜어줍니다.

아래 포스팅도 함께 읽어보세요!
📌 인건비 부담 줄여주는 일자리 안정자금의 모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