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내일채움공제로 우수 인력을 확보하세요!
정부지원 사업 💭 — 청년내일채움공제 편
#정부지원사업 #청년내일채움공제 #우수인재채용
청년들은 취업이 안된다고 하고 중소기업들은 사람을 뽑고 싶어도 인재 모집이 어렵다고 합니다. 이처럼 일자리 미스매칭이 발생하는 이유는 청년과 중소기업 간의 연봉 눈높이가 다르기 때문일 텐데요. 이에 정부는 중소기업들이 우수인재 확보의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에게 일정 금액을 보전해 주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연봉 때문에 인력난을 겪는 중소기업 사업장이라면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사업을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들의 장기근속을 위하여 고용노동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사업입니다. 청년·기업·정부가 함께 공제금을 적립한 후, 2년간 근속한 청년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만기공제금을 지급합니다. 청년이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 후 2년 이상 같은 기업에서 근무하면 청년 300만원, 기업 300만원, 정부 600만원이 적립돼 총 1200만원의 자산을 형성하게 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 대상 기준 💬

청년 :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이 가능한 조건은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군필자의 경우 복무기간 고려하여 최대 39세까지 가능)의 청년이어야 합니다. 또,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없거나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가입 12개월 이하여야 합니다(단, 3개월 이하 단기 가입은 이력에서 제외). 고용보험 가입이력 12개월 넘었더라도, 실직기간이 6개월 넘었으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조건에 학년 제한은 없지만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등학교 또는 대학에 재학이나 휴학중인 사람은 지원할 수 없습니다.
기업 :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에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은 지원 가능합니다. 벤처기업과 청년 창업기업은 직원 수 5인 미만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3년 평균 매출액 3천억원 이상, 소비향락업 기업은 청년내일채움공제에 신청할 수 없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 금액 💬

청년 : 청년 본인이 2년간 매월 12만5천원씩, 총 300만원을 적립하면 정부가 취업지원금 600만원을 기업에서 300만원(정부 지원)을 공동으로 적립합니다. 2년 후 만기공제금 1200만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기업 : 2년간 채용유지지원금 300만원을 정부에서 지원 받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를 활용해 잦은 이직으로 인해 인력난을 겪는 중소기업들도 추가 부담비용 없이 우수 청년을 고용유지할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 :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은 누가 하는 건가요?
A : 정규직 취업일(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 청년과 기업 모두 워크넷 참여 신청부터 청약 가입신청까지 완료하여야 합니다. 워크넷 인증이 완료된 다음날부터 청약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Q :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금은 공제가입이후 2년이 지나면 자동으로 지급이 되는 건가요?
A : 청년내일채움공제는 3자(청년+기업+정부) 적립금이 모두 적립이 되어야만 지급이 가능합니다.
즉, ①청년의 자기부담금 ②취업지원금 ③기업기여금이 모두 적립이 되어야만 지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청년은 매월 자기부담금을 정해진 날짜에 납부하여야 하고 기업 또한 청년이 만기수령금을 적기에 수령할 수 있도록 운영기관에 지원금을 신청해야 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 방법 💬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반드시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 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에서 청약신청을 완료하여야 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 방법은 📌워크넷-청년공제 홈페이지에서 참여신청을 먼저 한 후, 승인이 완료되고 나면 📌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에서 청약 신청을 하면 됩니다.
. . . . .
정부 지원 사업 💭 — 다른 편도 읽어보세요!
2021년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 확인하세요! >

혁신적인 급여 아웃소싱 서비스, 뉴플로이
홈페이지: www.newploy.net
도입문의: www.newploy.net/try-demo/